이 글은, 필자가 사용하는 울트라모바일PC 활용법으로 UMPC는 갖고 있지만, 실제 활용을 잘 하지 못하는 분들이 참고할 수 있도록 정리한 내용입니다. UMPC와의 하루 AM 04:30 늦은 밤 들려오는 공포의 소리? AM 06:00 너는 내 운명.. AM 07:00 오늘은 어떤 일이? AM 07:30 바리 바리 AM 08:00 오토모빌 AM 09:30 작업 공간 AM 11:00 Meeting PM 13:00 커피 한잔의 여유 PM 16:00 Pho..
Comments List
관리자만 볼 수 있는 댓글입니다.
트랙백 감사합니다.
더 많은 프로그램을 알아가게 되었습니다.^^
찾아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도 요즘 km 플레이어 다운 받아 쓰고 있는데
곰이나 폭스보다 화질이 좋고, 자동으로 다음 프로그램을 이어서 재생시켜주는 기능이 상당히 마음에 들었습니다.
다른 프로그램들도 천천히 읽어보고 깔아 봐야 겠는데요.
천천히 읽어보고 따라하려고, 링크시켜두었습니다..^^
저도 몇 가지 써보았지만 KMP가 단연 최고입니다. 예전보다 많이 무거워진 것이 아쉽지만 제 필수 프로그램입니다.
알시리즈는 죽어라 싫어 하는지라.. ㅎㅎ 빵집 마음에 들어요 ㅋ

개인적으로 사용하는 목록은
빵집(국산 - 완전 공개)
Acroedit(국산- 완전 공개)
Download Accelator(다운로드 가속시 - 외산)
Ad-aware(adware 제거 프로그램 - 외산)
머 이정도가 주로 쓰는거네요 ㅎㅎ 한번 써보시고 목록에 추가 되면 하는 바램이 ㅎㅎ
---
가상데스크탑으로는 윈도우라면 Virtual Desktop Manager (Windows XP PowerToy) http://blog.naver.com/raypier9/150007457670
를 추천드리구요
Paint.NET 은 안써봤지만.. 윈도우용 GIMP가 예전에 있었떤거 같은데. ㅎㅎ
아무튼 개인적으로는 별다른 프로그램 설치 이전에, 조금 불편하더라도 윈도우 기본 내장 기능을 사용하는 편이라서 말이죠 ㅎ
FTP는 Internet Explorer이나 콘솔용 ftp 프로그램으로 대체 ㅎ
이미지 편집은 mspaint에서 하곤 하지요 ㅎ
추가 정보를 알려 주셔서 감사합니다.
헉 모르는 유틸 꽤 많네요^^ 한번 설치해봐야겠어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찾아주셔서 감사합니다. 다른 좋은 프로그램이 있으면 알려주세요.
요즘 프리웨어 정말 괜찮죠. 개인이 가볍게 쓴다면 공연히 저작권 침해하면서 상용소프트 불법복제해서 쓸 이유가 없을 정도라 느끼니깐요.
요즘 세컨 PC에 윈도우와 아래아한글을 제외하고 모두 프리웨어를 설치해서 사용중인데, 하드웨어 성능 제약을 제외하곤 쓰는데 아무 불편 없습니다. 너무 좋네요. 아예 OS도 리눅스로 쓰면 괜찮겠지만, 예전에 돈주고 산 XP도 아깝고 아직까지 웹환경에서 사소한 불편이 있어서 완전히 프리웨어 오픈소스 계열로만 소프트웨어 환경을 깔려면 더 있어야 할듯 합니다.
맞습니다. 우리나라 웹 환경이 IE의 종속성에서 벗어난다면 OS를 비롯해 굳이 돈을 들여 프로그램을 사용할 필요가 없습니다.
Foxit Reader 필수 pdf파일 실행하는데 아크로뱃리더보다 엄청빠름....
Foxit Reader도 상당히 많이 알려진 프로그램입니다. 나중에 PDF 생성 기능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추가할 예정입니다.
압축프로그램 선택하는데 도움 됬습니다 고맙습니다~
별 말씀을.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